전체 글 1574

큰형님 가족 맞이 대가족 모임과 경복궁 나들이

큰형님 가족 맞이 대가족 모임과 경복궁 나들이(2025.3.23.)미국에 계시는 큰형님 가족이 한국에 다니러 나왔습니다. 조카사위와 종손주들은 이번이 첫 방문입니다. 당초 어머님 상수연(100세 생신)을 맞아 직계자손들이 모두 모여 축하연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호텔 연회장을 예약하고 행사 진행 방안도 협의해 놓았습니다. 그런데 어머님 건강이 나빠져 작년 가을부터 병원에 입원하셨습니다. 장기간 입원으로 인한 체력 저하와 건강 악화로 이제는 외출은 물론이고 앉아 계시는 것조차 힘드신 형편입니다. 손꼽아 기다리던 상수연을 개최하지 못하게 되자 너무 아쉽고 허탈하기까지 했습니다. 차선책으로 우리 남매와 자손들만이라도 반갑게 만나 정을 나누면 어머님이 좋아하시리라 생각되었습니다. 큰형님 가족이 어머님 문병차 귀국..

화초들의 이사와 꽃샘추위

화초들의 이사와 꽃샘추위(2025.3.16)봄이 왔으니 뒷방을 비롯해 실내에서 겨울을 난 화분들을 하늘정원으로 옮길 때가 되었다. 3월 초순부터 주말은 물론이고 평일 밤에도 화분을 부지런히 옮기기 시작했다. 예전엔 주말에만 작업을 했지만 올해는 평일 퇴근 후 밤에도 가벼운 화분을 옮겼다. 취미로 하는 꽃가꾸기지만 화분의 수가 점점 늘어나니 봄, 가을로 대이동을 할 때면 몸살을 앓곤 한다. 꽃을 가꾸는 즐거움과 보람을 느끼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통과 의례인 모양이다. 주말에는 아침을 먹자마자 실내의 큰 화분들을 하늘정원에 내놓기 시작했다. 복도에 있던 화분을 모두 옮기고 깨끗이 청소한 후에 방에 있던 긴기아난과 군자란 화분으로 교체했다. 꽃봉오리가 맺혔으니 얼마 안 있으면 아름다운 꽃과 향기를 맡을 수 있..

화초들의 월동을 마치며...

화초들의 월동을 마치며...(2025.3.9.)한겨울 한파가 물러간 2월 하순경에 월동용 보온 덮개(이불)를 벗겼다. 최저기온이 영상을 오르내리는 3월 초에는 온실용 비닐도 걷어 내었다. 크고 작은 비닐과 습기에 젖은 화분 보온용 넝마를 바닥에 펴 널고 햇볕에 말렸다. 이삼 일 햇볕에 말린 덮개와 비닐, 넝마를 일정한 크기로 차곡차곡 개어서 빈 공간에 보관했다. 여름철에 장마가 져도 빗물이 스미지 않도록 방수막으로 덮고, 튼튼한 끈으로 묶어 태풍에도 날리지 않도록 단도리를 했다.  육체노동으로 몸은 힘들지만 파릇파릇 돋아날 새싹과 꽃망울을 생각하니 마음은 벌써 화사한 봄날을 거닐고 있다. 이른 봄부터 꽃을 가꾸다 보니 학창시절에 열심히 읽고 외웠던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라는 시가 떠올랐다. 하늘정..

한겨울 마장호수 산책

한겨울 마장호수 산책(2025.2.21.)금요일이지만 회사 공동연차로 쉬는 날이다. 햇살이 퍼지기를 기다려 점심을 먹고 파주에 있는 마장호수로 향했다. 예전에 호수를 가로지르는 출렁다리가 생겼다는 소문을 듣고 방문한 적이 있다. 벌써 칠팔 년 전의 일이다. 그땐 방문객들이 많아 주차할 곳을 찾아 한참 헤맸던 기억이 난다. 오늘은 겨울철 평일이라 그런지 편리한 곳에 쉽게 주차를 할 수 있었다. 추운 날씨를 고려해 출렁다리를 건너서 호수 둘레길 반 정도만 산책할 요량이었다. 출렁다리에서 호수를 내려다보니 맑고 푸른 수면의 한쪽에 흰 얼음이 덮여 있었다. 다리를 건넌 후에는 예전에 산책로가 없었던 오른쪽 데크 교량 쪽으로 걸었다. 방문객이 많지 않아 호젓한 분위기 속에서 나뭇잎이 떨어진 숲속의 속살까지 들여다..

탄도항 누에섬 전망대, 시화호 전망대, 오이도 빨강등대

탄도항 누에섬 전망대, 시화호 전망대, 오이도 빨강등대(2025.2.2.)설날 전후로 이어진 긴 연휴가 끝나는 날이다. 마음이 한가하니 잡생각이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야외 나들이를 가면 잡념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문득 누에섬 전망대가 생각났다. 전망대에 오르려고 탄도항까지 두 번이나 갔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한번은 코로나로 폐쇄되었고 또 한 번은 물때를 맞추지 못했다. 간조시간에 맞추어 입구에 도착하니 점심때가 되어 식사부터 했다. 바닷길 입구 둔덕에 서서 누에섬 쪽을 바라보니 풍력발전기 3대와 섬 정상에 있는 전망대가 아스라이 시야에 들어왔다. 갯벌에 설치된 콘크리트 보도를 걸으니 갈림길이 나왔지만 한눈팔지 않고 곧장 걸었다. 한낮이지만 겨울 바닷바람에 귀와 볼이 시려 목도리로 감쌌다. 진입로가..

옛 김유정역 방문

옛 김유정역 방문(2025.1.28.)오늘은 작은 설날이다. 어제 내린 눈으로 온 세상이 하얗게 변했다. 문득 인적이 드문 교외로 나가 눈길을 걷고 싶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 갈만한 곳을 찾다보니 경춘선의 김유정역이 떠올랐다. 지하철과 전철을 타고 그곳까지 가려면 시간이 꽤 걸리겠지만 폐역이 있어 산책하기 좋을 것 같았다. 설을 하루 앞두고 있지만 부부는 태평스럽게 교외선에 몸을 실었다. 시내를 벗어나 논밭과 산비탈이 온통 하얀 눈으로 덮인 광경을 보니 생각도 시공간의 굴레를 벗어났다. 대성리역, 청평역, 강촌역을 지날 땐 학창시절 야유회를 왔던 옛 기억이 새록새록 되살아났다. 김유정역에 가까워지자 빈 좌석이 늘어나고 바깥 기온도 떨어지는 것 같았다. 눈길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등산화를 신고 스틱을 짚으니..

소민이의 어떤 기다림

소민이의 어떤 기다림(2025.1.26.)소민이네가 예상보다 일찍 도착하는 바람에 안방에서 소민이의 인사를 받고 거실로 나왔습니다. 전등 몇 개를 교체하는 동안 조수(?) 역할을 하느라 소민이와 함께하지 못하고 어린이 애니메이션을 틀어주며 보도록 했습니다. 한참 시간이 지난 후에야 평소 손주들을 만나면 선물하던 책을 깜박하고 전달하지 않은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소민이가 조부모에게 인사를 하고 책을 받으면 항상 좋아했는데... 책을 받지 못한 동안 마음이 편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얼른 책을 챙겨주며 “소민아~ 앞으로 내가 책 선물을 깜박 잊어버리면, 할아버지! 책 주세요.”하라고 얘기했습니다. 소민이가 조부모와 ‘루미큐브’ 게임을 한 후에 텀블링 재주도 보여주었습니다. 연습을 많이 한 듯 익숙한 동..

외손녀/5~6세 2025.02.21

마당놀이 모듬전 관람

마당놀이 모듬전 관람(2025.1.24.)코로나-19 유행 이후로 연극이나 뮤지컬은 물론이고 대중이 모이는 공연장에는 발길을 끊었다. 이제 큰 위험은 사라졌지만 특별한 계기가 없어 원상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요즘 남산 국립극장에서 공연 중인 '마당놀이 모듬전'이 인기라는 소문을 들었다. 마당놀이에서 ‘모듬전’이 무슨 뜻인가 했더니 심청전, 춘향전, 놀부전에서 중요한 장면을 꿰맞춰 흥과 해학을 강조한 공연이라 했다. 마당놀이는 관객과 함께하는 흥겨운 공연이라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겸 하여 어렵사리 예약을 했다. 지하철 동국대역에서 내려 마을버스 정류장으로 가니 국립극장으로 가는 셔틀버스가 기다리고 있어 얼른 올라탔다. 어둠이 내려앉은 남산 자락 야외에 도착하자 불 켜진 건물 주위에 분주하게 움직..

철원 한탄강 물윗길 트레킹과 얼음 트레킹

철원 한탄강 물윗길 트레킹과 얼음 트레킹(2025.1.18.)추위에 몸을 움츠리고 있으면 정신도 나태해지기 십상이다. 철원 한탄강 ‘얼음 트레킹’이 주말까지 열린다고 하여 ‘물윗길 트레킹’과 동시에 즐길 생각으로 철원 ‘순담계곡’으로 향했다. 순담계곡은 직탕폭포에서 시작되는 물윗길 트레킹의 종점이자 ‘드리니’ 매표소까지 이어지는 ‘주상절리길’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햇살이 퍼져 따뜻한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트레킹 할 요량으로 시간을 맞추어 집을 나섰다.  순담계곡 주차장 빈자리에 간신히 차를 세우고 매표소에 갔더니, 그곳은 주상절리길 매표소였고 물윗길 매표소는 가파른 계단과 비탈길을 내려간 계곡에 있었다. 안내원의 간단한 설명을 듣고 강물에 떠 있는 부교를 밟으며 한탄강 상류 쪽으로 걷기 시작했다. 작년..

한겨울의 두물머리

한겨울의 두물머리 (2025.1.12.)이삼일 한파가 기승을 부리더니 오늘은 조금 누그러진 듯하다. 오후에는 옷을 두툼히 챙겨 입고 한겨울의 양수리 두물머리로 나갔다. 가는 길 교통은 비교적 원활했는데 주차장에는 빈자리가 없을 정도로 방문객이 많았다. 그 동안 추위로 움츠리고 지내다 날씨가 풀리니 해방감을 느끼나 보다. 주차장에서 세미원 배다리가 있는 강변으로 나가지 않고 ‘두물머리길’을 걸으니 다양한 조형물들을 전시한 장소가 보여 호기심을 가지고 구경했다. 요즘 두물머리에는 ‘연핫도그’가 인기를 끄는 듯 연밭 부근의 가게에 긴 줄이 늘어서 있었다. 보호수로 지정된 노거수와 돛단배 주변을 지나 나루터 쪽으로 천천히 걸었다. 앞서 가던 어느 부부가 큰소리로 “두물머리에 나오니 가슴이 툭 트인다.”고 좋아했..